- 베리간 & 갸이본
- 도플갱어 LV10
- 히포그리프
- 웨어울프 & 미노타우로스
- 레서 데몬
- 말파스
- 스킬라
- 서큐버스
- 케르베로스
- 올록
- 레기온
- 리히터 벨몬드
- 큰 박쥐
- 프랑켄
- 메두사
- 미라남
- 페이크 시리즈
- 벨제브브
- 도플갱어 LV40
- 데스
- 갈라모스
- 샤프트
- 드라큘라
베리간 & 갸이본
보스명 |
HP |
내성 |
무효 |
약점 |
흡수 |
베리간 |
200 |
|
|
|
|
갸이본 |
200 |
|
|
|
|
베리간을 접근하면 찌르기 공격을 한다. 이때 공격하기 전에 짖는다.
아무 소리도 하지 않으면 화염으로 공격한다. 이 화염은 공격으로 파괴할 수 있다.
어느 정도 데미지를 주면 창이 없어지고, 부리로 공격한다.
갸이본은 날아오르면서 사선으로 화염을 5개 발사한다. 이것도 파괴할 수 있다.
이후 떨어져서 지상으로 내려오고, 다시 화염을 4개 발사한다. 당연히 파괴 가능.
어느 정도 데미지를 주면 몸이 붉어지며, 화염의 위력과 스피드가 상승한다. (화염의 개수도 늘어나고 크기도 커짐)
2마리가 같이 있으면 콤비네이션으로 공격해온다. 베리간은 공격을 받으면 날아간다. 이때 갸이본이 하늘을 날고 있으면 베리간을 잡는다. 갸이본은 잡은 베리간을 알카드 근처로 떨어뜨려 공격을 한다.
우선은 베리간부터 잡는 것이 정석이다.
도플갱어 LV10
보스명 | HP | 내성 | 무효 | 약점 | 흡수 |
도플갱어 LV10 |
120 |
|
|
|
|
무기는 알카드 소드(알카트 소드?)로 공격한다. 서브 웨폰은 나이프를 사용한다. 이것은 파괴할 수 있다.
접근하지 않으면 나이프만 던진다. 도플갱어는 하트 제한 같은게 없으니 계속해서 나이프를 던질 수 있다. 피하거나 방패로 가드하면서 접근하자.
벽 옆에 붙으면 박쥐로 변신하여 윙 스매시를 사용한다.
멀어지면 적이 가까이 오는데 이때 점프를 하면 적의 점프를 유도할 수 있다. 점프 상승 중에는 무방비 상태이기 때문에 이때 공격을 한다. 공격이 명중하면 백 대쉬로 거리를 벌리고, 경직이 풀리면 다시 움직이는데 점프를 다시 유도하며 이것을 반복하는 패턴으로 공격하자.
'아카사비'를 장비하여 공격하면, 도플갱어를 저주 상태로할 수 있다. 저주 상태에서는 무기 공격을 하지 않는다.
서브 웨폰 '시계'가 유효하다. 시계를 사용하여 움직을 멈추면 아주 쉽게 상대할 수 있다.
히포그리프
보스명 |
HP |
내성 |
무효 |
약점 |
흡수 |
---|
히포그리프 |
800 |
뇌격 |
|
|
|
하늘을 날고 있어 싸우기 어렵다. 하늘을 일정 거리 날은 후, 지상으로 내려와 아래와 같은 행동을 한다. 복수의 행동을 조합해서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 아무 것도 하지 않는다.
- 알을 낳는다. 알이 갈라지면 병아리가 날아온다. (파괴 가능)
- 화염을 발사한다. 횟수는 랜덤으로 최대 5회 연속으로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앉으면 피할 수 있으며 이때 공격 찬스가 된다.
- 지상에서 멀리 떨어져 있으면 돌진한다.
- 히프그리프가 화면 밖으로 날아가 다시 돌아왔을 때 멀리 있으면 급강하 공격을 한다.
히포그리프가 내려오는 위치 근처로 이동하여 앉아서 공격을 한다. 화염이 나오면 공격 찬스! 알을 낳으면 반드시 파괴한다.
날고 있을 때도 점프 공격을 하면 공격을 명중시킬 수 있다.
지상에 있을 때 멀리만 있지 않으면 문제 없이 쓰러뜨릴 수 있다.
웨어울프 & 미노타우로스
보스명 |
HP |
내성 |
무효 |
약점 |
흡수 |
---|
웨어울프 |
260 |
|
|
|
|
미노타우로스 |
300 |
|
|
|
|
2마리 있을 때와 단독으로 있을 때의 공격 패턴이 다르다.
2마리 패턴
- 돌진 공격 : 점프로 회피
- 회전 공격 콤비네이션 : 웨어울프의 회전 공격 후, 미노타우로스가 웨어울프를 위로 던져서 알카드 위로 낙하한다.
- 충격파+어퍼 : 웨어울프는 낙하하여 충격파 공격을, 미노타우로스는 돌진하여 어퍼로 공격한다.
- 기탄+점프 : 미노타우로스가 점프로 알카드를 뛰어넘고, 웨어울프가 기탄을 던진다. 앉으면 피할 수 있다.
- 회전 브레스 : 미노타우로스가 브레스를, 브레스를 감은 웨어울프가 회전 공격을 한다. 점프해서 피하고 반격할 수 있다.
- 접근 : 접근하면 웨어울프는 펀치, 미노타우로스는 찌르기 공격을 한다.
웨어울프 단독
- 돌진 공격 : 직진과 회전 2종류가 있다.
- 슬라이딩 : 떨어져서 피한다.
- 회전 충격파 : 떨어져서 피한다.
- 기탄 던지기 : 앉아서 피한다.
미노타우로스 단독
- 돌진 공격
- 찌르기 공격
- 도끼 던지기 후 돌진 어퍼
- 대점프 공격
- 브레스 공격
위와 같은 패턴들을 사용한다. 웨어울프를 먼저 쓰러뜨리는 것이 편할 것이다. 서브 웨폰을 성수를 추천한다.
레서 데몬
보스명 |
HP |
내성 |
무효 |
약점 |
흡수 |
---|
레서 데몬 |
400 |
|
암흑 |
신성 |
|
지상에 있을 때타격 공격과 레이저 공격을 한다. 양쪽 다 앉아서 피할 수 있다.
공중에 있을 때몬스터를 소환한다. 소환 중은 무적 상태. 머드맨, 스켈레톤, 엑토플라즘 3종류를 소환한다.
폭발하는 탄환을 발사한다. 탄환 자체에는 명중 판정이 없으며, 가까이 있으면 공격하지 않는다.
한 번 공중에 올라가면 지상으로 내려오는 일이 적다. 소환의 무적 시간이 있어서 상대하기 귀찮다.
소환된 몬스터는 무시하고, 공격 기회가 있을 때 공격해야 한다.
말파스
보스명 |
HP |
내성 |
무효 |
약점 |
흡수 |
---|
말파스 |
500 |
암흑 |
|
|
|
-
공중에서 좌우로 날개 공격
- 지상에서 까마귀를 불러 모아 공중에서 횡 방향으로 까마귀를 몬다.
- 공중에서 빛의 탄환 4개를 아래 방향으로 방사한다.
- 2번의 까마귀 공격
위와 같은 패턴을 반복하여 공격한다.
날개 공격은 바로 밑에 있으면 피할 수 있다.
까마귀 공격은 바로 밑이나 뒤로 돌아가면 좋다.
광탄은 멀어지면서 점프로 피한다.
지상에 있을 때는 성수 연타로 쉽게 이길 수 있다.
스킬라
보스명 |
HP |
내성 |
무효 |
약점 |
흡수 |
---|
스킬라 테일 |
130 |
|
물 |
뇌격 |
|
스킬라 |
200 |
|
|
뇌격 |
물 |
스킬라 테일의 행동 패턴은 매우 단순하다. 오른쪽에서부터 꼬리를 펴서 몸통박치기를 한다. 방향은 알카드가 있는 쪽으로 향하며, 한 번 몸통박치기를 하면, 일단 화면의 오른쪽으로 돌아온다. 다만, 스킬라 테일이 화면 밖까지 나아갔을 때는 오른쪽으로 돌아가지 않고 한 번 더 몸통박치기를 하기도 한다. 방의 왼쪽 끝에 있으면 적의 공격이 닿지 않기 때문에 여기서 대기하다가 다가오면 공격하는 것을 반복하면 쉽다.
스킬라와 전투에서는 3체의 스킬라 테일과 동시에 싸운다. 테일의 공격 패턴은 이전과 거의 같다.
본체 중 인간 여성은 물을 흡수하여 물방울을 발사한다. 사전 동작이 보이므로 피하는 것은 어렵지 않다.
늑대 울음소리가 들리면 천장이 무너져서 파편에 데미지를 입는다.
서브 웨폰을 성수로 하고, 스킬라 뒤쪽의 공간으로 들어가서 성수를 뿌리면 본체를 아주 쉽게 잡을 수 있다.
서큐버스
보스명 |
HP |
내성 |
무효 |
약점 |
흡수 |
---|
서큐버스 |
666 |
암흑 |
|
|
|
7체로 분신했을 경우, 분신이 유도 마법으로 공격한다. 분신은 공격하면 사라지며, 본체를 공격하면 모든 분신이 사라진다.
날개로 몸을 감싸면, 8방향에서 촉수 공격을 한다. 촉수의 틈세로 피해보자. 촉수 끝에만 명중 판정이 있다.
몸을 측면으로 돌리면 하트 공격을 한다. 여기에 맞으면 저주에 걸리므로 주의.
케르베로스
보스명 |
HP |
내성 |
무효 |
약점 |
흡수 |
---|
케르베로스 |
800 |
|
|
빙결 |
화염 |
케르베로스가 중앙에 있는 경우, 단발의 화구를 발사한다. 앞쪽 머리가 입을 열고 나서 공격하므로 알기 쉽다. 이건 앉으면 피할 수 있다.
케르베로스가 방의 구석에 있는 경우 8연발의 화구를 발사한다. 사전 동작이 없으므로 타이밍을 알기 어렵다. 이것도 앉으면 피할 수 있다.
방의 구석까지 케르베로스를 몰면 점프하여 반대쪽으로 이동한다.
점프하거나 발판 위에 있으면 사전으로 화염 레이저 공격을 한다.
화구를 앉아서 피하는 것만 반복해도 쓰러뜨릴 수 있다.
올록
보스명 |
HP |
내성 |
무효 |
약점 |
흡수 |
---|
올록 제1형태 |
666 |
암흑 |
|
|
|
올록 제2형태 |
800 |
암흑 |
|
|
|
제1형태박쥐 공격은 파괴가 가능하다. 올록 주위의 박쥐는 많이 잡아둬서 수를 줄여두는 것이 좋다.
머리 위에 블랙홀이 출현하면 거기서 해골이 소환된다. 느리지만 알카드를 향해 날아오며, 파괴하지 않으면 사라지지 않는다.
올록의 팔에 발톱 같은 것이 보이면 횡 방향으로 레이저 공격을 한다. 앉아서 피하자.
지변에 붉은 불길이 나타났을 경우, 올록이 손을 들면 불길에서 거대한 해골이 떠오른다. 불길이 없는 장소로 이동하면 피할 수 있다.
올록에 접근하면 백스텝으로 도망친다. 구석으로 몰면 순간이동으로 도망친다.
제2형태거대해지며 움직임이 크다. HP가 감소함에 따라 공격이 4단계로 격렬해진다.
입에서 화구를 여러 개, 방향을 바꾸면서 발사한다. 이건 파괴할 수 있다. 장기간 전투가 되면 화구의 수도 많아지고 발사 간격도 짧아진다.
입에서 지면으로 빛을 발사하면 폭발이 일어난다. 공격 단계가 오를 때마다 공격 횟수가 1회씩 증가한다.
접근하면 팔을 뻗어 공격한다. 움직임이 일순간 멈추므로 잘보고 점프하거나 뒤로 피한다.
올록이 점프를 하면 알카드가 서 있던 자리로 내려온다.
머리가 약점이므로 머리를 우선해서 공격하자. 팔은 일정 데미지로 파괴되지만 시간이 지나면 재생한다.
장기전은 힘드므로 단기 일격으로 빠르게 잡는 것이 좋다.
레기온
보스명 |
HP |
내성 |
무효 |
약점 |
흡수 |
---|
레기온 |
400 |
암흑 |
|
신성 |
|
본체의 코어는 껍질로 지켜지고 있으므로 우선은 껍질을 파괴해야 한다.
껍질은 전부 9개 있으며 각각 HP 400.
껍질은 중심의 것만 부수면 코어를 공격할 수 있으므로 모두 부술 필요는 없다. 오히려 모두 부수면 공격이 격렬해지기 때문에 자제해야 한다.
레기온에서 사람이 떨어지고 걸어서 가까이 온다. 떨어지는 사람과 접촉해도 데미지를 받는다. 사람은 데미지와 관계 없이 공격만으로 쓰러뜨릴 수 있다. 레기온의 움직임이 정지하면 대량의 사람이 떨어진다. 사람은 끊임없이 출현하므로 모두 쓰러뜨릴 필요는 전혀 없다. 껍질을 공격하면서 착지할 공간만 확보하면 된다.
껍질을 3개 부수면 공격 패턴이 추가된다. 촉수의 끝에 눈이 열리면서 레이저 공격을 한다. 공격 각도는 정해져 있으므로 안전한 장소로 이동하여 피한다.
가장 간단하게 쓰러뜨리는 방법은 방의 왼쪽에 있는 발판에서 서브 웨폰 나이프로 공격을 하는 것이다.
리히터 벨몬드
보스명 |
HP |
내성 |
무효 |
약점 |
흡수 |
---|
리히터 벨몬드 |
400 |
|
신성/석화 |
암흑 |
|
서브 웨폰은 전부 가드된다.
대부분의 공격에 신성 속성이 부여되고 있기 때문에, '성스러운 흉갑' 같은 신성 내성 방어구를 장비하고 있으면 데미지를 격감할 수 있다. 경감할 수 없는 공격은 태클, 슬라이딩, 슬라이딩 태클, 몸통박치기 뿐이다.
전투는 리히터 본체를 공격하는 것이 아니라, 리히터를 조종하는 마력의 구슬을 공격해야 한다. (성스러운 안경을 장비하지 않으면 구슬이 보이지 않는다) 구슬은 공격력과 관계 없이 10회의 공격만 맞추면 파괴할 수 있다. 공격 속도가 빠른 무기로 재빠르게 처리하자.
그랜드 크로스전투 개시 직후 사용한다.
리히터 주위에 거대한 십자가가 선회하는 신성 속성의 공격. 사용 중은 리히터가 무적이다.
접근하지만 않으면 맞지 않지만, 마지막 빛은 화면 전체 범위이므로 미스트 등의 무적 시간이 있는 기술로 피해야 한다.
개시 직후만 사용하고 이후 사용하지 않는다.
채찍공중에서도 지상에서도 사용하는 기본 공격.
거리를 벌리면 맞지 않고, 점프나 앉는 것으로도 피할 수 있다.
각종 서브 웨폰들...서브 웨폰으로 공격한다. 공격 방식은 기존의 서브 웨폰과 거의 동일하다.
큰 박쥐
보스명 |
HP |
내성 |
무효 |
약점 |
흡수 |
---|
큰 박쥐 |
600 |
|
|
|
|
상하좌우로 날아서 이동하며 공격하는 것을 반복한다.
- 돌풍
돌풍을 발사한다. 바람에 맞으면 벽으로 날아간다. 데미지는 작다.
적이 있는 방향으로 걷고 있으면 날아갈 일은 없다. 공중에서는 이동하고 있어도 날아간다.
- 드릴
이동하고 있을 때, 큰 박쥐의 전방에 있으면 횡 방향으로 드릴 공격을 한다.
지상에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점프해서 피할 수 있다.
- 잡기
재빠른 움직임으로 접근하여 잡는다.
사용 빈도는 낮지만, 데미지가 가장 크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다. 멀어지면 피할 수 있다.
방이 좁아서 싸우기 어렵다.
항상 적 바로 밑에서 뒤쪽에 위치를 잡고, 이동 중은 뒤쪽에서 추격하여 점프 공격을 한다.
뒤돌아 보면, 적 바로 밑에서 대기하여 상공을 통과시키고, 재차 뒤에서 공격한다. 이것을 반복.
돌풍을 사용한 순간이 공격 찬스이므로 뒤돌아서 공격한다. 서브 웨폰은 바로 밑에서 공격할 수 있는 도끼를 추천한다.
프랑켄
보스명 |
HP |
내성 |
무효 |
약점 |
흡수 |
---|
프랑켄 |
1100 |
|
뇌격 |
|
|
공격 패턴이 2개 밖에 없다.
- 회전 공격
프랑켄과 거리가 멀어지면, 굴러서 몸통박치기를 한다. 방을 2회 왕복하면 멈춘다.
점프만으로 피할 수 있다.
- 해머
프랑켄과 거리가 가까워지면, 해머를 들어올리고 내던지는 공격을 한다.
동작이 크며, 멀리 떨어지는 것으로 쉽게 피할 수 있다.
사정 거리가 긴 무기로 싸우는 것을 추천한다.
HP가 높아서 장기전이 될 수 있으므로 공격 기회가 있을 때 반드시 명중시키자.
메두사
보스명 |
HP |
내성 |
무효 |
약점 |
흡수 |
---|
메두사 |
1100 |
타격 |
|
|
석화 |
- 검
접근하면 검으로 공격한다. 앉으면 맞지 않는다.
- 석화 광선
메두사와 멀어지면 석화 광선을 발사한다. 앉는 것으로 회피할 수 있다.
- 베놈
석화 광선을 받은 직후에 사용하는 추격 공격이다.
이름은 베놈이지만, 독 속성은 아니고 그냥 무 속성의 공격이다.
'미러 쿠이라스'를 장비하는 것으로 석화를 방지할 수 있다.
타격에 내성이 있으므로 무기는 참격 속성이 좋다.
미라남
보스명 |
HP |
내성 |
무효 |
약점 |
흡수 |
---|
미라남 |
1200 |
|
석화/독/저주 |
신성/화염 |
암흑 |
생각 없이 싸우다가 낭패 보기 쉬운 강한 보스이다.
- 붕대
붕대를 늘린 직선 공격. 멀어지거나, 앉기로 피할 수 있다.
- 잡기
접근하면 잡아 휘두른 후 벽에 내던지는 공격.
- 독
미라남이 움직인 뒤에 독가스가 나온다. 파괴/회피 불가
'황옥석의 서클렛'을 장비하면 독을 흡수할 수 있다.
공격했을 때 나오는 독은 광범위할 뿐만 아니라, 사라질 때까지 시간이 걸리므로 '황옥석의 서클렛'이 없으면 정면 공격은 힘들다.
원거리에서 공격하면 매우 편하게 쓰러뜨릴 수 있다. 가까운 곳의 가시밭에서 서브 웨폰 나이프를 입수할 수 있는데 이것을 사용해서 원거리 공격을 하는 것만으로 쓰러뜨릴 수 있다.
페이크 시리즈
보스명 |
HP |
내성 |
무효 |
약점 |
흡수 |
---|
그랜트 페이크 |
800 |
|
|
|
|
랄프 페이크 |
1200 |
|
|
|
|
사이퍼 페이크 |
1000 |
|
|
|
|
그랜트 페이크통상시는 천장에 붙어 있으며, 공격할 때 또는 공격 받았을 때에 지상으로 내려온다.
- 천장 나이프
천장에서 세로 방향으로 나이프를 던진다.
- 참격
2명이 되면 사용한다. 천장에서 그랜트가 빛난 후 낙하하면서 참격.
- 지상 나이프
그래튼 1명이 되면 사용한다. 지상에 있을 때 나이프 2개를 던진다. (가드 가능)
랄프 페이크채찍에 의한 통상 공격과 서브 웨폰을 사용하는 공격을 사용한다. 랄프가 빛나면 사용하는 서브 웨폰이 변화한다.
2명이 되면 점프하면서 공격을 해온다.
랄프 1명이 되면, 서브 웨폰이 3연사가 되며, 한층 더 파워업한 서브 웨폰을 사용하게 된다.
- 채찍
채찍을 사용한 통상 공격. 사정거리가 길다.
- 십자가
횡 방향으로 십자가를 부메랑처럼 던진다. 암흑 속성.
- 나이프
횡 방향으로 직선 나이프 공격. 멀리 있으면 사용한다. (가드 가능)
- 성수
지면에 성수를 뿌려서 공격한다. (앉기 + 가드 가능)
- 거대 십자가
1명이 되었을 경우만 사용한다. 십자가의 거대판.
- 도끼는 사용하지 않는다.
사이퍼 페이크
- 냉기
아래 방향으로 광범위의 빙결 속성 공격.
- 화염
2명이 되면 사용하게 된다.
- 라이트닝 볼트
1명이 되면 사용한다. 신성 속성의 유도탄 3개를 동시에 발사한다.
- 소환
1명이 되면 사용한다. 랄프의 좀비를 소환한다. 동시 소환은 1마리까지. 좀비는 저주 속성의 공격을 한다.
마도기 : 심장 이 있으면 좀비를 무효화할 수 있다.
페이크 3마리를 동시에 상대한다. 아래는 랄프, 중단은 사이퍼, 상단은 그랜트로 구성된 전투 대형을 짜기 때문에 상대하기 매우 까다롭다. 이길 수 없을 것 같으면 무리하지 말고, 레벨을 올리거나 강력한 무기를 입수하고 나서 재도전하자.
1마리씩 쓰러뜨릴 때 마다 공격 패턴이 증가하며, 쓰러뜨리는 차례가 중요하다. 특히 랄프를 마지막으로 남기면 꽤 힘들어지므로 주의하자.
벨제브브
보스명 |
HP |
내성 |
무효 |
약점 |
흡수 |
---|
벨제브브 |
2000 |
|
|
신성 |
암흑 |
벨제브브는 전부 11개의 부위로 구성되며, 흉부(심장)를 파괴하는 것으로 쓰러뜨릴 수 있다.
- 구더기
구더기가 지면에 떨어지며 접근한다. 독 속성의 공격.
일격으로 잡을 수 있지만 수가 많고, 무한하게 나오기 때문에 상대하기 힘들다.
- 거대 파리
벨제브브의 주위를 날고 있는 거대 파리가 몸통박치기를 걸어온다. 암흑 속성의 공격.
신체의 일부를 부술 때 마다 수가 1마리씩 증가한다.
거대 파리는 일격에 잡을 수 있다. (데미지 무관)
구더기가 있으면 매우 귀찮기 때문에, '황옥석의 서클렛'을 장비하여 공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한다.
벨제브브의 신체를 파괴하면 거대 파리가 늘어나므로, 신체는 가능한 한 부수지 않는 것이 좋다.
벨제브브의 각 부위에는 아래의 표와 같은 HP가 설정되어 있지만, 파괴되는 것은 직접 공격했을 때만이므로, 부수고 싶지 않은 부위는 공격을 하지 않으면 된다.
간단히 말하면 흉부만 공격하면, 거대 파리를 늘리지 않고 끝낼 수 있다.
부위 | HP |
좌-다리 |
1101 |
우-다리 |
1201 |
좌-넓적다리 |
1301 |
좌-손 |
1401 |
우-손 |
1501 |
우-넓적다리 |
1601 |
복부 |
1701 |
좌-팔뚝 |
1801 |
우-팔뚝 |
1901 |
머리 |
2001 |
흉부 |
2000 |
도플갱어 LV40
보스명 |
HP |
내성 |
무효 |
약점 |
흡수 |
---|
도플갱어 LV40 |
777 |
|
|
|
|
- 후룬팅
검에 의한 독 속성의 공격. 접근하거나 점프할 때 사용한다.
- 밀리컨의 석도
검에 의한 석화 속성의 공격. 후룬팅보다 더 접근하면 사용한다.
- 도광석
멀어지면 사용한다. 사각의 방이라서 피하는 것은 어렵지만 데미지는 작아서 큰 문제는 없다.
- 윙 스매시
박쥐로 변신하여 돌진 공격을 한다. 구석으로 몰아 넣으면 사용한다.
- 하이 점프
멀리서 원거리 공격을 하면 회피 행동으로 사용한다.
- 미스트
필살기나 십자가 등의 화면 전체 범위의 공격을 사용하면 회피 행동으로 사용한다.
'황옥석의 서클렛', '미러 쿠이라스'를 장비하면 각각 독과 석화를 무효화할 수 있다.
도플갱어는 점프 상승 중에는 공격하지 않으므로 점프해서 적의 점프를 유도하고 선공을 때리는 것이 좋은 방법이다.
도플갱어에게 걸 수 있는 상태 이상 공격은 모두 유효하다. 이전에 싸운 도플갱어처럼 저주가 걸린 무기로 도플갱어의 무기 공격을 봉인하는 방법도 좋다. 독을 걸면 공격력이 1/2로 줄어든다.
서브 웨폰 시계도 아주 유용하다.
데스
보스명 |
HP |
내성 |
무효 |
약점 |
흡수 |
---|
데스 제1형태 |
888 |
|
|
신성 |
암흑 |
데스 제2형태 |
1300 |
|
|
신성 |
암흑 |
제1형태데스의 본체는 접촉 판정이 없으므로 부딪힌다고 데미지를 받을 일은 없다.
HP가 감소하면 공격 패턴이 크게 변화하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신성 속성이 약점이기 때문에 무기는 '홀리 로드'를 추천한다.
- 낫
랜덤으로 낫이 출현하여 날아온다.
파괴 가능하지만, 방패로 가드할 수 없다.
- 마력의 구슬
남은 HP가 3/4 (666) 미만이 되면, 마력의 구슬 2개를 출현시킨다.
마력의 구슬은 천천히 따라오는 것 뿐이지만, 낫과 동시에 사용하기 때문에 매우 싸우기 어려워진다..
- 해골
남은 HP가 1/2 (444) 미만이 되면, 좌우의 마법진에서 초록색의 해골로 공격한다. 이때는 낫과 마력의 구슬을 사용하지 않는다.
- 지옥의 낫
남은 HP가 1/3 (296) 미만이 되면, 2개의 지옥의 낫을 출현시켜 알카드를 향해 날린다. 더 이상 해골을 사용하지 않는다.
제2형태제2형태는 접촉 판정이 있으므로 주의하자.
- 낫 던지기
한손을 들며 낫을 ⊃ 모양으로 던진다.
- 베어내리기
양손을 들어 낫을 아래 방향으로 베어내린다.
공격 패턴이 적고, 각각의 대처는 비교적 간단하다. 거리만 멀리 떨어지면 데미지를 받을 일이 없다.
갈라모스
보스명 |
HP |
내성 |
무효 |
약점 |
흡수 |
---|
갈라모스 |
12000 |
|
|
|
|
- 번개
곤봉에서 번개를 내려치는 공격.
피하려면 하이 점프로 상공으로 가서 박쥐로 변신하거나, 미스트로 다리 사이에 들어가서 공격 끝날 때를 기다리는 방법이 있다.
- 번개 충격파
횡 방향으로 긴 뇌격을 발사한다. 점프 등으로 지상에 알카드가 없을 때에 사용한다. 지상에 있으면 피할 수 있다.
- 마법 구슬
위에서부터 알카드가 있는 위치로 마법 구슬을 날린다.
멀리 도망치면서, 반격은 단념하고 기다리는 것이 좋다.
- 곤봉
가까이 있으면 곤봉을 내려치기 공격을 한다.
- 발차기
발 밑에 있으면 사용한다.
최종 보스보다 강한 이 게임 최강의 보스. 공격력도 방어력도 높아서 반드시 장기전이 된다.
머리가 약점으로 달리나 몸에 공격하는 것 보다 큰 데미지를 줄 수 있다.
뇌격 속성의 공격이 많으므로 '녹주석의 서클렛'을 장비하면, 번개 공격을 흡수할 수 있게 된다.
쓰러뜨리기 힘들면, 알카드 실드 + 실드 로드의 필살기를 사용하자.
샤프트
보스명 |
HP |
내성 |
무효 |
약점 |
흡수 |
---|
샤프트 |
1300 |
|
독 |
|
|
- 화염
화염구를 날리며, 벽이나 바닥에 닿으면 불기둥이 나온다.
샤프트의 위치나 구의 위치에 따라 궤도가 바뀌기 때문에 읽기 어렵다.
- 바운드
구가 방을 돌아다닌다. 한 번 움직이기 시작하면 궤도를 예측할 수 있지만, 움직이는 방향은 예측할 수 없다.
- 낙뢰
구가 좌우로 나눠져서 구의 사이에 낙뢰가 떨어진다.
구가 상하로 이동하므로 방 전체에 최저 1회는 낙뢰가 떨어진다.
미스트 같은 무적 시간이 있는 기술로 회피할 수 밖에 없다.
화염→바운드→낙뢰 순서로 공격을 반복한다.
공격 직전에는 반드시 샤프트의 움직임이 한 번 멈춘다.
화염은 '홍옥석의 서클렛', 낙뢰는 '녹주석의 서클렛'으로 흡수할 수 있다. 화염은 비교적 피하기 쉽기 때문에, 낙뢰 대책으로 '녹주석의 서클렛'의 장비를 추천한다.
드라큘라
보스명 |
HP |
내성 |
무효 |
약점 |
흡수 |
---|
드라큘라 |
10000 |
화염/뇌격 |
독 |
|
암흑 |
- 손톱
오른손 또는 왼손을 사용하여 공격을 4회 반복한다.
공격하는 손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점프하여 회피한다.
- 묵살
중앙에 보스 몬스터의 그림이 나오며, 그것을 양손으로 잡는 공격이다. 점프하여 회피할 수 있다.
(그림은 말파스→서큐버스→베리간→메두사→미라남→케르베로스→갸이본→웨어울프 의 반복)
- 파동포
화면 안쪽에서 거대한 파동포를 발사한다. 움직임은 느리기 때문에 피하기 쉽다.
- 촉수
드라큘라의 주위에 있는 3체의 얼굴이 늘어나는 공격.
좌상, 좌하, 우상 의 순서로 공격한다.
처음 2개는 오른쪽에 있는 것만으로 피할 수 있다. 두 번째 얼굴이 늘어나는 동안 2단 점프를 하여 좌측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세 번째 얼굴도 피할 수 있다.
- 트라이앵글
3개의 얼굴이 늘어나며 삼각형을 만들어, 중앙으로부터 삼각형의 물체를 4개 날린다.
통상 이동으로는 피할 수 없기 때문에 미스트로 피한다.
손톱→묵살→파동포→촉수→트라이앵글 의 순서로 반복 공격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