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성 병기
- 충차
- 정란
- 벽력거
- 목우
- 목수
- 함선
- 몽충
- 투함
공성 병기
- 공성 병기(충차, 벽력거, 목수)를 배치하면 도시·거점에 대한 공격력이 오른다.(자동 전투시)
- 조립한 상태로 수상 지형에 진입하는 것은 할 수 없다. 수상 지형에서는 병기의 「조립」불가.
- 「조립」 후 원래 병과와 비해 이동 코스트가 감소하는 일이 있다. (특히 충차와 목수는 감소량이 크다)
- 병기는 반격할 수 없기 때문에 「근접」 「돌격」 「일제」 「반목」을 당하면 일방적으로 데미지를 받는다.
- 병기가 된 부대는 「투석」, 「낙석」을 실행할 수 없게 된다.
- 이동 중 함정에 걸리면 자동적으로 해체된다.
- 보병계만큼은 아니지만 병기는 「궁시, 화시」에 대해서 내성을 가진다.
충차
- 제작 가능 도시 : 병기제작소가 있는 도시
- 제작 조건 : 도시의 기술이 1200이상
- 제작 비용 : 1000
- 사정 : 1
- 특징 : 성문·관청·관문에 대한 공격력이 높다. 부대는 공격할 수 없다. 기병계 부대의 「충차」는 타 병과보다 약간 공격력이 높다.
- 비고 : 암석 지형에서도 자유롭게 주행 가능. 이동력이 낮은 궁병계 부대를 신속히 이동시키고 싶은 경우 조립해서 이동하면 좋다.
정란
- 제작 가능 도시 : 병기제작소가 있는 도시
- 제작 조건 : 도시의 기술이 1800이상
- 제작 비용 : 1000
- 사정 : 2~5
- 특징 : 전방위에 「궁시, 화시」가능. 「궁시, 화시」의 행동 코스트가 작다. 암석·습지·독천·삼림 지형을 이동할 수 없다. 삼림에서는 조립도 불가.
- 비고 : 원융노병의 「정란」은 관통 속성을 가지고 있다.
벽력거
- 제작 가능 도시 : 병기제작소가 있는 도시
- 제작 조건 : 도시의 기술이 2700이상
- 제작 비용 : 3000
- 사정 : 3~7
- 특징 : 「벽력」(발석 공격) 가능. 「벽력」은 성벽 넘어로 공격하는 것이 가능.
- 삼림·암석·습지·독천지형을 이동할 수 없다. 삼림에서는 「조립」도 불가.
- 「벽력」은 성문이나 관문 안에 있는 부대에 데미지를 줄 수 있다.
- 벽력거의 명중률은 목표와의 거리가 4칸 이상 있거나, 무장의 통솔이 낮음, 부대의 경험이 낮을 경우에 명중율이 떨어진다.
- 무장의 통솔: 110, 부대의 경험: 1000, 목표와의 거리: 3칸일 때 명중율은 98%. 1칸 떨어질 때마다 명중율은 10% 저하한다.
- 성벽이나 관문의 밖에서 「벽력」을 받은 부대는 사기가 -2 된다.
목우
- 제작 가능 도시 : 병기제작소와 기술개발소가 있는 도시 (강주)
- 제작 조건 : 도시의 기술이 2400이상
- 제작 비용 : 1000
- 특징 : 다른 병기와 다르게 배치하고 있는 것만으로 효과를 발휘한다. 목우가 배치된 부대가 군세에 1개 편입될 때마다 전투·전쟁시에 소지할 수 있는 최대 군량수가 15일분 증가한다.
목수
- 제작 가능 도시 : 병기제작소와 기술개발소가 있는 도시 (강주)
- 제작 조건 : 도시의 기술이 4800
- 제작 비용 : 5000
- 사정 : 1~5
- 특징 : 「목수」(화염 방사 공격) 가능.
- 습지·독천 이동이 가능한 유일한 병기. 다른 병기와 다르게 무장의 통솔이 위력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 「목수」는 「궁시, 화시」하고 다르게 동서남북 방향의 직선상 밖에 공격하지 못하고, 자기보다도 높은 위치에 있는 적 부대에는 인접하고 있지 않으면 공격할 수 없다. 또 삼림이나 가옥등의 「지형」을 공격 목표로 할 수 없다.
- 「화시」나 「화계」하고 같이 악천후시는 「목수」불가.
- 「목수」는 원융노병의 사격과 같은 관통 속성이지만 직선상의 아군 부대도 피해를 받고, 직선상의 모든 육상 지형이나 함선에 발화할 가능성이 있다.
- 「목수」에 의한 데미지는 대상이 되는 적 부대의 병사수가 많은 만큼 커진다. 적 부대의 병사수를 어느 정도 줄인 다음은 정란등으로 급소를 찌르는 것이 빠르다.
- 「목수」는 발화 하지 않는 경우에서도 부상병에게 데미지를 준다.
- 「목수」 공격을 받은 부대는 위치에 상관 없이 사기가 -2가 된다.
- 비고 : 시가전에서 특히 효과를 발휘하는 병기. 이하와 같은 이점이 있다.
- 시가전은 고저차가 적고 「목수」자체가 사용하기 쉽다.
- 아군 부대와 적 부대의 사이에는 불 바다가 생기므로 접근하기 어려워진다.
- 도시 시설을 모두 다 태워도 전투 후 농업, 상업등의 저하는 거의 없기 때문에 어떤 거리낌도 없이 도시를 불 바다로 할 수 있다.
함선
- 함선을 배치하고 있으면 수상 지형의 이동 코스트가 줄어든다. 「제독」 칭호를 얻지 않은 무장도 사용하기 좋다.
- 각 병과가 가지는 속성 자체는 변하지 않기 때문에 육상에서의 전투와 같다.
- 함선을 배치하고 있지 않는 부대는 주가로 수상을 행동하게 된다.
몽충
- 조선 가능 도시 : 조선소가 있는 도시 (여강, 영안, 상용, 강릉, 시상, 건업, 오)
- 조선 조건 : 도시의 기술이 1200이상
- 조선 비용 : 1500
- 특징 : 수상 지형의 이동 코스트 감소.
투함
- 조선 가능 도시 : 조선소와 기술개발소가 있는 도시 (강릉, 시상, 건업)
- 조선 비용 : 도시의 기술2400이상
- 조선 비용 : 3000
- 특징 : 수상 지형의 이동 코스트 감소. 수상 지형에서 「궁시, 화시」사용 가능. (사정거리 4)
투함의 「궁시, 화시」는 궁병이나 정란과는 다르게 인접한 적 부대에 대해서도 사용 가능하고, 반격을 받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