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요
- 여포 토벌전
- 강동 제패전
- 적벽 전투
- 형주 공방전
- 파촉 공방전
- 한조 부흥전
- 여포 포위전
- 허창 기습전
개요
- ( ) 는 그 이벤트를 발생시킬 수 있는 무장 또는 군세.
- 특정의 무장이 대상으로 인접하면 발생하는 종류의 이벤트는 다음과 같다.
- 인접하면 즉석에서 발생하는 것
- 인접한 상태로 다른 부대가 행동·이동하면 발생하는 것
- 인접한 상태로 무장의 행동순서가 돌아 오면 발생하는 것
여포 토벌전
- 곽가의 헌책(조조군) → 조조와 곽가가 당분간 인접
- 하비수몰(조조군) → 「곽가의 헌책」발생 후, 턴 경과
- 후성 투항(조조군) → 연합군이 우세
- 조조의 방심(조조) → 여포의 병사수가 일정 이하 상태로 여포에게 인접
- 하비 수몰(유비군) → 턴 경과
- 유비의 설득(유비) → 성내에 진입
- 관우VS장료(관우, 장료) → 「일기토」
- 장비VS여포(장비) → 「일기토」
- 하비 수몰(여포군) → 턴 경과
- 후성 투항(여포군) → 「하비 수몰」발생 후, 성내에 적 부대가 진입
- 기각의 계(여포) → 진궁이 성내에 생존하고 여포 본대의 사기가 81 이상으로 복수의 적 부대에 인접
- 원술군 등장(여포군) → 턴 경과
강동 제패전
- 신정산의 일기토(손책, 태사자) → 「일기토」
- 태사자 포박책(손책, 주유) → 손책과 주유가 인접
- 태사자 귀순(손책, 주유, 태사자) → 「태사자 포박책」발생 후 주유가 생존하고, 손책의 사기가 160 이상 상태로 손책이 태사자에 인접(손책, 주유)
「신정산의∼」발생 후 태사자의 사기가 손책보다 50 이상 낮은 상태로 손책에 인접(태사자)
- 장흠, 주태 등장(손책군) → 성채의 내구치가 일정 이하 상태로 부대가 이동
- 왕낭, 엄백호 등장 → 턴 경과
- 능조, 능통 등장(손책군) → 「장흠, 주태 등장」발생 후, 아군의 평균 사기가 적군의 평균 사기를 어느 정도 웃돌고 있는 상태로 손책, 손권, 주유로 엄백호를 공격
- 진무 등장(주유) → 사기가 높은 상태로 파괴된 성채에서 「대기」
- 손권의 위기(손권) → 주태가 생존하고 병사 수가 일정 이하 상태로 적 부대에 인접
- 장흠, 주태 등장(유요군) → 성채의 내구치가 일정 이하 상태로 부대가 이동
- 능조, 능통 등장(유요군) → 「장흠, 주태 등장」발생 후, 아군의 평균 사기가 적군의 평균 사기를 어느 정도 밑돌고 있는 상태로, 담당 무장의 * 행동순서가 돌아 온다
적벽 전투
- 역병 발생 → 턴 경과
- 고육지계 → 턴 경과
- 적벽 염상(조조군, 손권군) → 「고육지계」발생 후, 황개가 조조 부대에게 인접
- 적벽 역전(조조군) → 「고육지계」에서 설전 승리, 아군 부대가 황개에 인접
- 조조 삼소(조조) → 「적벽 염상」발생 후, 관우나 조운에 인접
- 선봉, 감녕(감녕) → 적 부대에 인접
- 황개의 결단(황개, 주유) → 턴 경과
- 고육지계(손권군) → 턴 경과(감녕과 황개가 생존?)
- 동남풍(손권군) → 「고육지계」발생 후 턴 경과
- 고육지계(제갈량) → 턴 경과(감녕과 황개가 생존?)
- 동남풍(유비군) → 「고육지계」발생 후, 턴 경과
- 조운의 마중(조운) → 「동남풍」발생 후, 제갈량에게 인접
- 적벽 염상(유비군) → 「동남풍」발생 후, 턴 경과
형주 공방전
- 관우VS방덕(관우, 방덕) → 「일기토」
- 칠군 수몰(조조군) → 턴 경과
- 관우VS서황(관우, 서황) → 「일기토」
- 미방, 부사인 투항(조조군) → 턴 경과
- 칠군 수몰(손권군) → 턴 경과
- 미방, 부사인 투항(손권군) → 우번이 부사인에 인접
- 병사 이산(손권군) → 턴 경과
- 칠군 수몰(유비군) → 턴 경과(관평과 주창이 생존?)
- 방덕 포박(주창) → 「칠군수몰」발생 후부터 「병사 이산」발생까지, 방덕에게 인접( 「칠군 수몰」의 발생한 턴에는 발생하지 않는다)
- 미방, 부사인투항(유비군) → 턴 경과
- 병사 이산(유비군) → 턴 경과(관평이 생존?)
- 원군 도착(유비군) → 「병사 이산」발생 후, 턴 경과
파촉 공방전
- 마초 등장 → 턴 경과
- 하후연 등장(조조군) → 「마초 등장」발생 후, 턴 경과
- 장임의 덫(조조군) → 복수의 아군 부대가 「산지」위에 있다.
- 이엄 설득(가후) → 이엄 인접, 이엄이 성문에서 조조군 쪽으로 나와 있는 상태로 가후의 턴이 돌아 온다.
- 장합 분전(장합) → 적 2부대 이상 인접
- 하후연 등장(유장군) → 「마초등장」발생 후, 턴 경과
- 장임의 덫(유장군) → 장임이 생존 상태로 복수의 적 부대가 「산지」위에 있다.
- 가후 격파(장임) → 가후 인접(지형이 「산지」)
- 하후연 격파(법정) → 엄안이 생존하고, 법정 본대의 사기가 하후연 본대의 사기보다 10이상 높은 상태로 하후연 본대와 인접 (지형의 높낮이차이가 법정>하후연이 아니면 안된다)
한조 부흥전
- 오호장군 등장 → 턴 경과
- 조조VS유비(조조, 유비) → 인접
- 손권 항복(조조군) → 조조군이 열세
- 마속 격파(사마의) → 마속에게 「유인」
- 손권 항복(손권군) → 조조군이 열세
- 제갈근VS제갈량(제갈근) → 「손권 항복」발생 전에 제갈량에게 인접
- 육손의 화계(육손) → 제갈량 부대를 전멸시켜 유비(성채 밖에 있을 때)에 대해 「화시」
- 손권 항복(유비군) → 조조군이 열세
- 왕랑 분사(제갈량) → 조진에게 인접
- 삼형제 집합(유비) → 관우나 장비에게 인접
여포 포위전
- 여포VS원소군(여포) → 인접
- 여포VS마도등군(여포, 마등) → 인접
- 여포VS손책군(여포, 손책) → 인접
- 장료 분투(장료) → 적 2부대 이상일 때 인접
- 이간의 계(진궁) → 손책, 마등 생존시 원소에게 인접
- 원소군 증원 → 원소 본대의 병사수가 일정 수 이하
- 장수 투항(여포군) → 연합군이 열세
- 장수 투항(연합군) → 연합군이 열세
- 여포군 증원 → 여포 본대의 병사수가 일정 수 이하
허창 기습전
- 손책군 유인(조조군) → 성문이 파괴 또는 내구치가 일정 이하
- 순욱의 계략(조조군) → 「손책군 유인」발생 후, 복수의 적 부대가 성내(성벽 위는 불가)에 진입
- 조조 등장(조조군) → 턴 경과(하후돈이 퇴각하면 발생하지 않을 가능성도 있다.)
- 태사자 등장 → 턴 경과
- 주유VS순욱(주유, 순욱) → 인접
- 하후돈 고무(하후돈) → 2부대 이상 아군 부대의 사기가 60이하
- 순욱의 덫(손책군) → 복수의 아군 부대가 성내(성벽 위는 불가)에 진입
- 조조 등장(손책군) → 턴 경과
- 소패왕 돌격(손책) → 적 3부대 이상일 때 인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