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작을 동료로 하는 방법
- 무한 크레디트 벌이
- 개발2부
주작을 동료로 하는 방법
몬스터 동료. 주작(朱雀)을 영입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 방패의 카드를 시작한다.
- <무스펠니블>의 빙산의 입구 부근에서 여성 요마의 심볼과 전투하여 쓰러뜨린다.
- 산 중턱 부근에서 드물게 출현하는 눈사람(서리의 거인)을 쓰러뜨린다.
- 이후 동굴로 돌아와서 주작과 대화를 한다.
산 중턱의 위치는 짐승계 심볼만 있는 장소의 남쪽이다. 주작은 동쪽 동굴에 있다.
만일 눈사람이 출현하지 않는다면, 다시 여성 요마와 전투를 하고 중턱에 돌아오는 것을 반복해보자.
눈사람과 접촉하면, '서리의 거인'과 전투가 발생한다.
VS 서리의 거인 (霜の巨人)
물리 공격력이 엄청난 보스 몬스터다. 중반에 도전한다면, 서리의 거인의 공격을 감당하기 힘들 것이다. 제대로 싸우기 위해서 물 내성의 장비품을 반드시 장비시키고, DEF와 VIT를 최대한 끌어내는 것이 좋다. 그리고 '프리즈 배리어'의 대책으로 총이나 던지기 기술, 또는 원거리 검/체술로 공격할 준비를 해두자.
거인이 사용하는 강풍(強風)은 위력도 엄청나고, 전체 공격이라서 버틸 수가 없다. 돌격/광 속성의 기술이고, 마법 방패와 방패로 차단이 가능하긴 하지만, 캐릭터의 광 속성 방어가 돌격보다 더 높지 않는다면, 광 속성의 데미지를 받는다. 이때는 뭐 차단기도 없어서 그냥 데미지를 받을 수 밖에 없다.
다행히 서리의 거인은 내성에 빈틈이 있다. <기절/정신/수면/마비>만 내성이므로, 독과 어둠에 매우 취약하다. 상태 방어가 높기는 하지만, 분명히 상태 이상에 걸리는 것은 확실하다. 따라서 전투 개시 후 곧바로 독 or 어둠 부가 기술을 걸어주면 거인을 상대하기 매우 편해진다.
거인이 독에 걸리면 매턴 약 999의 데미지를 받는다. 한 번 걸면 전투 끝까지 중독 상태이므로 일단 걸어놓으면 된다. 어둠 효과는 물리 공격이 특기인 거인에게 걸 경우, 대부분의 공격이 빗나가게 된다. 또한, '강풍'의 사용 빈도도 거의 없어지므로 아군은 전혀 무서울 게 없어진다.
서리의 거인은 빙의가 가능한 보스이므로 남은 HP를 잘 계산해서 요마 캐릭터에게 빙의시키주자. 요마의 검이나, 다리가 빙의 기술이 좋다.
눈사람이 사라지면, 동굴에 있던 주작의 봉인이 풀린다. 동굴로 가서 주작과 접촉하면, 대사도 없이 그냥 파티에 들어온다. (여유 공간이 있을 경우만) 이 주작은 빙산 정상의 보스 몬스터 주작과는 별개로 '방패의 카드' 클리어와는 무관하다.
무한 크레디트 벌이
<크론>과 <넬슨>에는 금(金)과 크레디트를 교환할 수 있는 가게가 있다.
이 2개의 교환소는 다른 시스템을 가지고 있어서 이것으로 크레디트를 무한하게 늘릴 수 있다.
- 넬슨
- 가격이 고정되어 있다. 시세에 관계없이 「1금=500 크레디트」이다.
- 다만, 여기서 할 수 있는 것은 금 구입만으로 매각은 불가능
- 크론
- 가격이 변동한다. 기준은 「1금=800 크레디트」이다.
- 금을 하나 구입할 때 마다, 금값이 40 크레디트 상승한다.
- 금을 하나 매각할 때 마다, 금값이 40 크레디트 하락한다.
처음에는 넬슨보다 크론쪽이 금값이 비싼 것을 알 수 있다.
즉, 넬슨으로 금을 구입하여, 크론에 매각하면 그 차액으로 크레디트를 벌 수 있는 것이다.
다만, 크론은 변동제이기 때문에 매각으로 이익을 얻으려면 한계가 있다.
넬슨에서 8개의 금을 구입하고, 크론에서 팔면 1280 크레디트의 이익을 얻을 수 있지만, 그 이상의 금을 팔아도 크론의 시세는 480 크레디트 이하가 되기 때문에 이익을 낼 수 없다. 다만, 이 시스템의 헛점을 노리면 얼마든지 크레디트를 벌 수 있다. 이하의 순서로 실행해보자.
- 우선 6500 크레디트의 자금이 필요하다. 아이템을 매입하는 상점을 이용하여 돈을 벌어두자.
- 넬슨에서 8개의 금을 구입한다.
- 크론에서 모두 매각한다. (이때 시세가 480 크레디트가 된다)
- 소지 크레디트를 7000 이상 모은다. (최소 6500 이상)
- 넬슨에서 가능한 많은 금을 구입한다. (최소 13개 이상)
- 크론의 교환소에서 금을 판다(金を売る)를 선택하고, 소지수 0까지 방향키를 아래로 내리고 있는다.
- 이때 금값이 아래와 같이 변화한다. (금의 개수 15개를 기준으로 설명)
금 |
가격 |
15 |
480 |
14 |
440 |
13 |
400 |
12 |
360 |
11 |
320 |
10 |
280 |
(중략) |
5 |
80 |
4 |
40 |
3 |
0 |
2 |
0 |
1 |
0 |
0 |
0 |
여기서 금을 팔아서는 안 된다. 방향키를 다시 위로 올려서 소유수를 최대로 되돌린다.
그러면 아래와 같이 값이 변동된다.
금 |
가격 |
0 |
0 |
1 |
40 |
2 |
80 |
3 |
120 |
4 |
160 |
5 |
200 |
(중략) |
10 |
400 |
11 |
440 |
12 |
480 |
13 |
520 |
14 |
560 |
15 |
600 |
금의 시세가 480에서 600으로 증가하고 있다.
다시 방향키를 금의 가격이 480 크레디트가 될 때까지 내린다.
금 |
가격 |
15 |
600 |
14 |
560 |
13 |
520 |
12 |
480 |
- 금값이 '480' 시점에서 매각을 한다.
- 다시 넬슨에서 금을 구입한다. (소지수 최대까지 구입)
1~2번을 반복하면, 무한으로 크레디트를 벌 수 있다.
처음 벌 수 있는 크레디트는 조금이만, 차액으로 넬슨에서 구입하는 금을 하나씩 늘려나가면, 더 많은 크레디트를 벌 수 있다. 중요 포인트는
"크론의 금 시세가 480일 때 매각" 하는 것. 이것만 지키면 손해볼 일은 없다.
크론의 금값은 최대 2040 크레디트가 되므로, 52개 이상의 금으로 이 방법을 실행해도 의미가 없다.
참고로 52개의 금을 매각하면, 한 번에 49400 크레디트를 벌 수 있다.
크레디트를 수십만 이상 벌었다면, 각 리전에 있는 상점에서 최고급 아이템을 구입하여, 파티원에게 장비시켜주자. 이 게임은 상점제 장비품의 성능이 나쁘지 않다.
개발2부
시스템 데이터로 7명의 주인공 모두 클리어하면, 스탭룸인 개발2부(開発2部)에 갈 수 있게 된다.
- 사가 프론티어 제작 스탭들의 이야기를 들을 수 있다.
- 모든 최종 보스와 전투가 가능하다. (회복 포인트가 없기 때문에 싸울 때는 주의하자)
- 지금까지의 총 플레이 횟수, 클리어 횟수, 플레이 데이터 등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