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캐릭터의 스테이터스
- 성별
- 숙성
- 파라미터
- 아이템
- 중량
- 무기
- 방어구
- 방어
- 방어구의 내성
- 상태 방어
- 특수 방어
- 회복 지상
- 술법
- 심볼 인카운트
- 일반 몬스터의 랭크
- 진형
- 커맨더 모드
- 번뜩임
- 번뜩임 확률의 요소
- 간파
- 기술 취득
- 달인
- 특효
캐릭터의 스테이터스
성별
남성(男性), 여성(女性), 성별 불명(性別不明)이 있다. 전투시 특정 공격이나, 일부 장비품을 장착했을 때 파라미터 보정에 영향을 준다.
숙성
숙성(宿星)은 "숙명의 별"을 말한다. 그냥 별자리 같은 개념이다. 주인공 선택시 설정을 할 수 있으며, 능력치에 영향을 준다. 동료 캐릭터도 각각 숙성이 설정되어 있어서 능력치에 반영된다.
- 세성(歳星) : 사냥꾼의 별(목성). 민첩 중시
- 형혹(熒惑) : 학자의 별(화성). 마력 중시
- 진성(鎮星) : 왕자의 별(토성). 매력 중시
- 태백(太白) : 무인의 별(금성). 완력과 체력 중시
- 신성(辰星) : 상인의 별(수성). 솜씨 중시
파라미터
종류 |
설명 |
상승 방법 |
HP |
내구력. 0이 되면 기절하고 LP가 1씩 감소한다.
전투 종료 후 전부 회복한다. |
전투 종료 후 |
LP |
생맹력. 기절 상태에서 공격 받으면 1씩 감소한다.
LP에만 데미지를 주는 특수 공격도 있다.
0이 된 캐릭터는 사망해서 파티로부터 이탈한다.(주인공은 게임 오버)
LP는 숙소(INN)에서 회복시킬 수 있다.
사망한 동료의 부활 방법은 원칙적으로 주요 보스를 쓰러뜨려서 '어비스 게이트'를 닫을 때 뿐이다. |
없음 |
WP |
기술력. 기술을 사용할 때 소비한다.
최대치는 250 |
기술의 스킬 레벨에 따라 상승 |
JP |
술력. 술법을 사용할 때 소비한다.
최대치는 205 |
술법의 스킬 레벨에 따라 상승 |
완력(腕力) |
무기(소검, 활 이외)과 체술의 위력에 영향 |
없음 |
솜씨(器用さ) |
소검, 활의 위력에 영향 |
민첩(素早さ) |
행동 순서, 회피율, 체술의 위력에 영향
방어구의 중량에 따라 감소한다. |
체력(体力) |
HP 회복량, 독의 데미지, 상태 이상의 자연 회복력에 영향 |
마력(魔力) |
술법의 위력에 영향 |
의지력(意志力) |
상태 이상 공격의 성공율, 적의 상태 이상(매료 제외) 공격의 회피율에 영향 |
매력(魅力) |
매료 공격의 성공율/회피율에 영향
성별에 맞지 않는 장비를 장착하면 감소한다. |
방어(防御) |
장비한 방어구 성능의 합계치
받는 데미지가 경감한다.
대응하는 속성에 방어 보정이 있는 방어구도 있다. |
방어구에 따라 변화 |
스킬 레벨 |
기술이나 술법의 숙련도를 말한다.
모든 기술/술법의 스킬 레벨은 높을 수록 위력이 상승한다.
최대치는 50 |
전투 중 사용한 계통의 기술/술법에 따라 레벨이 상승 |
아이템
중량
무기의 중량
<공격의 명중율>에 영향을 준다. 중량이 큰 만큼 명중율이 저하한다. 또한 <회피/반격 기술의 발동율>에도 영향을 준다. 마찬가지로 중량이 큰 만큼 발동율이 저하한다.
방어구의 중량
<공격 속도>에 영향을 준다. 공격 속도는 전투의 행동 순서나 체술의 위력에 영향을 준다.
공격 속도 = 민첩 - 방어구의 총중량 ÷ 2 (소수점 버림)
무기
- 공격용 장비로 한손(片手), 양손(両手) 무기로 구별한다. 아이콘에 녹색 링이 겹쳐 있으면 양손용이며, 방패의 효과나 이도류의 효과가 발생하지 않는다. 적색 글자로 표시된 것은 제외할 수 없는 '고정 장비'이다.
- 득의무기(得意武器)에 의해서 능력치와 기술의 번뜩임에 영향을 준다. 주인공은 선택시 변경이 가능하고, 동료 캐릭터에 득의무기가 각각 설정되어 있다. 주인공의 경우 득의무기를 '없음'으로 선택하면 마력이 크게 상승하고 해당 계통의 술법을 처음부터 습득할 수 있다.
종류 |
한손/양손 |
설명 |
검(剣) |
한손 |
위력은 표준적이지만 기술의 종류가 풍부하다. |
대검(大剣) |
양손 |
고위력이지만 다수의 적을 상대로는 부족하다. |
도끼(斧) |
한손 |
명중률이 낮지만 원거리 공격과 복수 속성을 가진 기술이 많다. |
곤봉(棍棒) |
한손 |
위력은 낮지만 추가 효과가 많다. |
창(槍) |
양손 |
고위력의 무기. 단체/전체 공격 기술이 모두 풍부하다. |
소검(小剣 ) |
한손 |
저위력이지만 공격이 적에게 회피되지 않는다. |
활(弓) |
양손 |
저위력, 낮은 명중률을 가지고 있지만 모든 기술이 원거리이며, 기술의 종류도 많다. |
체술(体術) |
한손(타격)
양손(던지기) |
무기 위력에 의존하지 않고, 캐릭터의 능력에 따라 위력이 변동한다. |
방어구
- 방어용 장비. 최대 4개까지 장비할 수 있다.
- 기본적으로 1종류에 1개만 장비할 수 있다.
- 무기와 동일하게 '고정 장비'를 가지고 있는 캐릭터도 있다.
종류 |
설명 |
방패(盾) |
특정 공격의 데미지를 일정 확률로 경감한다. 특수 효과도 차단 |
가다(ガーダー) |
방패와 비슷한 방어구. 일정 확률로 공격을 무효화한다. 방패와 가다는 동시에 장비할 수 없다. |
몸통 방어구 |
물리 방어 중시의 중갑(重鎧), 타격에 강하고 가벼운 경갑(軽鎧), 마법 방어 중시의 로브(ローブ)가 있다. |
머리 방어구 |
물리 방어 중시의 투구(兜), 마법 방어 중시의 모자(帽子)가 있다. |
팔 방어구 |
약간의 물리 방어력과 완력/솜씨를 상승시킨다. |
다리 방어구 |
약간의 마법 방어력과 민첩을 상승시킨다. |
전신 갑옷 |
몸통, 머리, 팔, 다리 방어구가 한 세트로 된 갑옷. 중복하는 부위와 같이 장비할 수 없다. 따라서 전신 갑옷에는 옷과 액세서리만 착용 가능하다. |
옷 |
갑옷 아래에 입는 방어구. 전신 갑옷과 병용이 가능하다. |
장신구 |
주로 마법 방어나 내성을 상승시킨다. 여러 개를 동시에 착용할 수 있다. |
방어
방어구의 내성
물리 : 참격(斬), 타격(打), 돌격(突), 사격(射)
마법 : 열기(熱), 냉기(冷), 뇌격(雷), 상태(状)
모든 공격에는 위 8가지 속성이 정해져 있으며, 여기에 대응하는 방어측 속성에 대해서는 방어 특성이라고 한다. 게임에서는 각 속성별 아이콘으로 표시된다.
방어력 100%를 기준으로 내성(방어 특성)에 대한 방어 효과
아이콘 |
설명 |
☆ |
무효화 |
◎ |
방어력×3.0 |
○ |
방어력×1.5~2.0 |
△ |
방어력×0.5 |
× |
방어력×0 |
방어 특성은 해당 속성별로 적용되어 방어력이 증감한다. 예를 들어 물리 방어력 20에 '타격 △'의 방어구는 20 × 0.5 로 계산해서, 타격 속성의 공격을 받았을 때의 실제 방어력은 10 이 된다. 또한, 방어구 종류(머리 방어구, 팔 방어구 등등)별로 각각 계산해서 합산한다.
방어력은 대부분 비슷한 수준이니까 방어 특성이 높은 장비를 선호하는 것이 좋다. 이 게임은 상황에 맞춰서 방어구 셋팅을 변경해야 하는 일이 많이 있으므로 여러 개 챙겨두자.
상태 방어
<혼란, 매료, 광전사>는 '정신'으로 분류한다.
종류 |
증상 |
자연 치유 |
혼란 |
조작 불가
아군 공격 |
턴 경과 |
매료 |
조작 불가
아군 공격 |
광전사 |
조작 불가
공격력 상승 |
독 |
매턴 HP 데미지 |
실명 |
명중률 반감 |
마비 |
행동 불능 |
수면 |
공격을 받으면 회복 |
석화 |
없음 |
스턴 |
적의 공격에 대한 회피율이 0%
방패/가다가 발동하지 않음 |
다음 턴에 회복 |
술법 스턴 |
술법 사용을 방해한다. |
기절 |
행동 불능
HP가 0, LP가 1감소 |
없음 |
사망 |
행동 불능
LP가 0, 파티에서 이탈 |
특수 방어
게임 화면에는 표시되지 않지만, 일부 방어구에는 특정 공격에 대한 데미지나 상태 이상을 무효화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것을 '특수 방어'라고 한다.
명칭 |
공격 속성일 때 |
내성일 때 |
던지기 |
상대의 중량에 의해 위력 변화 |
중량 총합이 높으면 공격을 무효화 |
물 |
물 속성의 공격 |
물 속성의 공격을 무효화 |
응시 |
각종 상태 이상 공격 |
응시계 공격을 무효화 |
음파 |
- |
음파계 공격을 무효화 |
부유 |
- |
지상 타입의 공격을 무효화 |
지상 |
부유 타입에게 공격이 무효화 |
- |
회복 지상
"회복 지상"이란, 각 캐릭터에 설정되어 있는
"매턴 HP의 회복(소)이 발생하는 지상"에 대한 내용이다. 회복 지상은 특정 방어구를 장비하거나 술법을 사용할 경우 설정된다. 캐릭터마다 회복 지상에 대한 내용이 다르므로 동시에 복수의 대상이 회복할 수 없다.
장비품의 회복 지상에 대한 우선 순위는 아래와 같다.
액세서리 → 갑옷 → 옷 → 팔 방어구
▷ 회복량 계산식
α = ( 최대HP ÷ 32 ) × ( 체력 ÷ 4 )
β = ( 최대HP ÷ 10 )
( ) 안은 소수점 이하 버림
α ≤ β때 턴 회복량 = α
α > β때 턴 회복량 = β
술법
-
術
- 일반적인 RPG에서 말하는 마법이다.
- 술법은 2계통, 6계열이 존재한다.
- 일부 술법을 제외하고 각 지역의 가게에서 술법을 구입해서 습득할 수 있다.
- 동시에 습득할 수 있는 술법은 같은 계통의 1계열만, 다른 계열의 술법을 습득하면 이전 계열의 술법이 모두 지워진다.
- 술법을 봉인했을 경우, 재구입이 필요하다.
종류 |
계통 |
설명 |
현무(玄武)의 술법 |
땅 |
물의 힘을 사용하는 술법 |
주작(朱鳥)의 술법 |
땅 |
화염의 힘을 사용하는 술법 |
백호(白虎)의 술법 |
땅 |
땅의 힘을 사용하는 술법 |
청룡(蒼龍)의 술법 |
땅 |
바람의 힘을 사용하는 술법 |
태양(太陽)의 술법 |
하늘 |
태양의 빛의 힘을 사용하는 술법 |
달(月)의 술법 |
하늘 |
달빛의 힘을 사용하는 술법 |
심볼 인카운트
- 로마 사가3는 '심볼 인카운트'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몬스터의 심볼과 접촉하면 전투가 발생한다.
- 대쉬 이동 중에는 적의 심볼을 구별하기 어려워지고, 접촉시 진형이 무너진다.
- 적 심볼 뒤에서 접촉하면 '백 어택'으로 판정되어, 적은 1턴간 행동 불능이 된다.
- 옆에서 접촉하면 적보다 1턴 빠르게 행동할 수 있다.
일반 몬스터의 랭크
- 출현 몬스터의 랭크 상승은 전투 승리 횟수와 주인공의 HP에 비례한다.
- 전투에서 승리했을 때만 적 랭크가 강화된다. 따라서 퇴각(退却) 커맨드를 마음 놓고 사용할 수 있다.
- 전작과 다르게 전투 횟수는 각 종족별로 따로 카운트된다. 예를 들어 해골계만 쓰러뜨렸다면 해골계 랭크만 상승하고 다른 종족의 몬스터는 영향이 없다.
- 보스를 제외하면 지역마다 적의 강함은 변화하지 않는다. 해당 지역에 출현하는 기본 랭크가 있으며, 여기에 족종별 전투 승리 횟수가 적용된다.
진형
- 메뉴 화면에서 편성(編成)으로 진형(陣形) 변경이 가능하다.
- 새로운 동료가 가세한 상태에서 편성 화면을 열면 새로운 진형이 추가된다.
- 대쉬 이동 중 전투 돌입하면 진형이 무저니고 강제적으로 '프리 파이트'가 된다.
- 진형에 따라 여러 가지 보너스가 추가된다.
- 진형에 참가 가능한 인원은 최대 6명, 전투에 참가 가능한 인원은 5명이며, 6명의 경우는 반드시 1명이 진형 밖으로 나간다.
- 6인 편성으로 주인공을 진형에서 제외했을 때 커맨더 모드라는 특수한 전투 시스템이 있다.
커맨더 모드
커맨더 모드(コマンダーモード)는 전작과의 가장 큰 차이점으로 볼 수 있다.
보스전을 제외한 일반 전투는 커맨더 모드로 하는 것을 추천한다.
- 주인공을 진형에서 제외한 상태라면, '커맨더'로서 전투를 지휘하게 된다.
- 커맨더(주인공)는 자신이 장비하고 있지 않는 아이템을 백팩(バックパック)으로 원호할 수 있다.
- 커맨더도 HP가 성장한다.
- 상대적으로 기술과 술법의 성장 속도가 빠르고, 기술을 번뜩이기 쉽다.
- 전술을 지시해서 동료의 행동 방침을 지정할 수 있다.
- 복수의 동료가 같이 공격하는 진형 기술(陣形技)을 사용할 수 있다.
- 진형 기술에는 기술을 베이스로 한 합체 기술(合体技)이나, 술법을 베이스로 한 합성 술법(合成術)이 있다.
- 1턴 경과하면 진형 기술의 WP가 1 상승한다.
- 각각의 합체 기술, 합성 술법은 필요한 무기/술법의 계통이 설정되어 있어서 그것을 소지 또는 습득한 캐릭터끼리 특정 포지션으로 배치하면 사용 가능하다.
- 공격 성능은 통상의 행동의 '기본 성능'에 참가 인원 수에 의한 보정을 가산한다. 다만, 데미지 상한이 9999까지이며, 경우에 따라 기본 성능을 모두 발휘할 수 없는 것도 있다.
전술 목록 |
설명 |
집중공격 (集中攻擊) |
선택한 대상을 집중적으로 공격한다 |
방어체세(防御体勢) |
전열 캐릭터는 방어 행동을 한다 |
선제공격(先制攻擊) |
행동 순서가 가장 빠른 기술을 사용 |
반격체세(反擊体勢) |
반격 기술을 사용 |
진형기술 우선 (陣形技優先) |
진형 기술을 우선 사용 |
양동공격 (陽動攻擊) |
? |
위력공격 (威力攻擊) |
위력이 높은 기술을 사용 |
번뜩임
- 사용하는 무기 계통의 기술은 번뜩임을 발동시키는 것으로 습득할 수 있다.
- 기술을 번뜩이는 것은 적을 공격할때 일정 확률로 발생한다. 번뜩일 때는 캐릭터 머리 위에 전구 아이콘이 뜬다.
- 특정 무기로만 번뜩여서 사용가능한 '무기 기술'도 있다.
- 일부 기술은 하위 기술을 사용해야만 번뜩일 수 있는 것이 있다.
- 적의 공격을 받는 것으로 간파를 번뜩일 수 있다.
- 무기의 스킬 레벨과는 관계 없다.
- 간략한 목록은 기술을 번뜩이기 쉬운 캐릭터를 참고
번뜩임 확률의 요소
- 몬스터의 고유 번뜩임 확률 : 번뜩임 확률이 높은 몬스터를 참고
- 기술과 캐릭터의 적성 : 기술을 번뜩이기 쉬운 캐릭터를 참고
- 왕관의 유무 : WP에 달인이 붙으면 확률이 상승한다.
- 최대 술법 포인트가 0 : JP가 0 이면 확률이 상승
간파
간파(見切り)는 적의 특정 공격을 반드시 회피할 수 있는 방어 기술로 적의 공격을 받을 때 번뜩임으로 습득할 수 있다. 다만, 행동 불능 상태나 아군의 공격은 피할 수 없다.
- 간파의 계통이 설정되어 있어서 비슷한 타입의 공격은 하나의 계통으로 묶어서 간파 스킬이 발동한다. 자세한 내용은 간파 기술을 참고
- 카운터 기술을 사용하는 중에도 번뜩일 수 있다. (패리(パリィ)를 사용하는 것만으로 안전하게 간파할 수 있다.)
- 상태이상계 간파는 내성을 가진 방어구를 착용하고 있으면 간파할 수 없다.
기술 취득
- 새롭게 번뜩인 기술과 간파는 미등록 상태로 기술 화면에서 붉은 글자로 표시된다. 이 상태에서 기술을 봉인하면 소멸해버린다.
- 기술을 취득하려면 붉은 글자의 기술을 사용하면 된다.
- 취득 판정은 그 전투에서 '1회' 사용했을 때 정해진다. 연속해서 기술을 사용하는 것은 무의미하다.
- 해당 기술이 취득되면 전투 종료시 「기술명 + 취득(取得)」 형식의 메시지로 알려준다.
- 한 전투에서 최대 4개까지 기술을 취득할 수 있다.
- 기술을 취득하면 화면에 보면 검은색으로 기술 이름이 바뀌어 있고, 이제 다른 캐릭터도 기술을 배울 수 있다.
달인
달인(達人)은 WP 또는 JP의 최대치 중 한쪽이 다른 한쪽의 최대치보다 높을 때
왕관 모양의 마크가 붙는다. 이 마크가 생긴 쪽은 기술이나 술법의 소비 포인트가 1P 감소한다.
특효
몬스터는 '불사', '비행' 등 특수한 속성을 가지고 있는 개체가 있다. 이러한 개체에 특효(特効)인 특정 기술이나 술법으로 공격하면 방어력을 무시한 데미지를 주거나 즉사시킬 수 있다.